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위해 제공되는 상품입니다. 청년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 투자와 저축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총 5년 (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해 줍니다. 또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로 진행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심사
-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가까운 은행 및 금융기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원하는 은행을 선택하고 영업점 또는 인터넷 뱅킹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총 12개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SC제일,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 신청 후 약 3~4주의 심사 기간 소요 후 승인 여부가 결정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까지 청년을 대상으로 제공됩니다. (병역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추가 인정해 줍니다.)
- 직전 3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 개인 소득의 경우 총 급여가 7,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종합소득 6,300 이하)
- 가구 소득의 경우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참고 : ‘22년 기준 중위소득 180%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80%(연) 1인 가구 42,007,939 2인 가구 70,417,836 3인 가구 90,605,542 4인 가구 110,615,328 5인 가구 130,129,524 6인 가구 149,191,286 7인 가구 168,060,787
청년도약계좌 지원 혜택
- 예금이자와 더불어 이자에 대해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추가로 개인 소득 기준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제공됩니다.
-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추가 우대금리가 제공됩니다.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에 따른 정부 기여금이 지원됩니다.참고 :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기준 정부기여금(月)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 총급여 2,400만원↓(종합소득 1,600만원↓) 40만원 6.0% 2.4만원 총급여 3,600만원↓(종합소득 2,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총급여 4,800만원↓(종합소득 3,6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총급여 6,000만원↓(종합소득 4,8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총급여 7,500만원↓(종합소득 6,300만원↓) – – –
청년도약계좌 상품 내용
- 월 최대 70만원까지 납부 가능한 자유적립식 적금입니다. (만기 연장 없음)
- 최대 5년까지 적금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
- 월 최대 납입 7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연간 840만원)
청년도약계좌 금리
- 금융기관 및 상품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이자 지급 방식
- 적금 만기시 일시 지급됩니다. 이자소득에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소득 증명서 등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증, 통장 발급 요청서, 기타 필요한 문서 등입니다. 은행 또는 금융기관에서 자세한 안내를 받아보세요.
청년도약계좌 유의사항
- 부정 청구를 하는 경우 정부기여금이 환수되며 제재부가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1인 1개의 계좌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 유지하는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23년 7월 이후 신청자의 경우 22년 소득을 기준으로 가입 여부가 확인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재무 안정을 도와주는 금융 상품 중 하나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infa.or.kr/product/youthJump.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