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프로젝트를 하거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서 마인드맵 또는 아이디어 구상을 하기 위해 고민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피그마에서 ai로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Figma에서 제공하는 Figjam AI Jambot을 사용하면 되는데요 바로 시작해볼게요

 

Jambot

  1. 피그잼 파일에서 하단 위젯을 선택합니다.
  2. Widgets 선택 후 Jambot 선택해 주세요
  3. Jambot 실행됩니다.
  4. 아이데이션을 시작하겠습니다. 주제는 “물 마시기”입니다. 하단 스티키 노트 (포스트잇)를 선택해 붙여줍니다.
  5. 문제 가설: “하루에 물 2리터 먹기는 어렵다”라고 정의했습니다. 전 물먹는 게 진짜 힘들더라고요 🤢 이제 물먹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6. HMW Question을 이용해 문장을 질문 형식으로 변경합니다. HMW 질문법이란 (How Might We ~?): 어떻게 우리가 ~ 할 수 있을까라고 질문식으로 문장을 바꾸어 아이디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말합니다. → 하루에 물 2리터를 규칙적으로 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7. Jambot을 이용해 아이데이션 해보겠습니다. 스티키 노트를 선택 후 끌어서 잼봇에 연결시켜줍니다. 그다음 Ideate! 버튼을 선택해 줍니다.
  8. 짠! 아이데이션 결과가 나왔습니다.
  9.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를 선택해 발전시켜보겠습니다. 원하는 항목 선택 후 Ideate! 선택합니다.
  10. 구체화된 아이디어가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규칙적으로 물 마시는 아이디어였지만 지금은 앱에서 어떤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구체화된 아이디어가 생성되었습니다.
  11. 일정 시간마다 알림을 보내주는 방식으로 아이데이션으로 한 번 더 진행할게요
  12. 알림 기능 아이데이션도 진행해볼게요
  13. 진행할 수록 더 구체화된 아이디어가 나옵니다.

요약

학습된 데이터로 아이데이션을 하다보니 기존 시장에서 출시된 아이디어도 많이 있었어요 간단한 아이디어로도 무궁무진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사이드 프로젝트나 신규 프로젝트를 할 때 활용해보세요

 

Jambot: Quick question 기능

  1. 옵션을 선택하고 Quick question을 선택합니다
  2. Quick question 메뉴를 선택하면 입력창 형태로 바뀝니다.
  3. 질문을 작성합니다.
  4. 질문의 답변이 나옵니다. 구체적인 주제나 관심사를 알려주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Jambot: Similar stuff 기능

아이데이션을 하다가 막힐 때 또는 새로운 주제가 필요한 상황이 있는데요 그럴 때 Similar stuff 기능을 사용하면 주제와 관련된 비슷하면서 새로운 주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아이디어를 가져와 잼봇에 연결해줍니다.
  2. 그러면 주제와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해서 아이디어 확장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Jambot: Teach me about this 기능

잘 모르는 지식이나 개념에 대해 잼봇에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1. 질문을 작성하고 잼봇에 연결해줍니다.
  2. Teach me about this 버튼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질문에 대해 잼봇이 설명해줍니다. Summarize 버튼을 선택하면 이 내용들을 요약할 수 있습니다.
  3. Summarize 기능은 블릿 포인트로 요약해주는 방식과 TL;DR (too long; didn’t read) 방식이 있습니다.
  4. 블릿 포인트로 요약해주는 방식과
  5. TL;DR (too long; didn’t read)을 선택하면 글의 자체를 요약해 줍니다.
  6. 가끔 잼봇에서 텍스트가 영어로 나오기도 하는데 이럴 땐 커스텀 버튼을 클릭해주고
  7. 한글로 번역해달라고 하면됩니다.

Jambot: Rabbit hole 기능

특정 기능을 파고들기

  1. 질문 선택 후 Rabbit hole 선택합니다.
  2. 그러면 질문 (건강한 레시피)에 대해 디깅 (dgging)할 수 있습니다.
  3. Rabbit hole로 건강한 레시피에 대한 글이 생성됐고 아무거나 선택해볼게요
  4. 번역으로 인해 글이 짤리는 부분은 플러그인에서 translator를 사용하면 짤리지 않고 볼 수 있어요

 

Jambot: Rewrite this 기능

스티키 노트에 작성된 텍스트의 어조나 스타일을 원하는 타겟에 맞춰 재구성 할 수 있습니다.

  1. 질문을 선택 후 “Rewrite this” 선택합니다.
  2. 글의 내용을 바꿔달라고 요구해볼게요 ”고객에게 보내는 이메일 형식으로 바꿔줘”
  3. 요청한 스타일로 글의 내용이 변경되었습니다

Jambot: Turn this into a… 기능

텍스트를 농담이나 노래가사, 시로 바꿀 수 있습니다.

  1. 변경하려는 글 선택 후 Turn this into a 선택합니다.
  2. Turn this into a.. 옵션이 나옵니다.
  3. 시로 변경해볼게요 작성된 텍스트를 시로 변경해줍니다.

Jambot: Give me… 기능

작성된 텍스트에 대한 사례, 아이디어, 통계 등 사실을 뽑아내는 기능도 있습니다.

  1. Give me… 를 선택합니다.
  2. 저는 레시피를 선택할게요 그럼 해당 텍스트에 있는 레시피를 지칭하거나 나타내는 텍스트를 따로 뽑아 생성해줍니다.

Jambot: Code this up… 기능

텍스트에 설명된 내용을 구현하는 코드를 생성해주는 기능입니다.

  1. 구현될 컴포넌트를 작성합니다.
  2. 옵션을 Web에서 사용하는 버튼으로 선택할게요
  3. 코드도 만들어줍니다. 👉 결과물 바로 보기

    만들어진 코드를 입력하니 버튼이 잘 나왔습니다!